
(꾸러미)오산공동체
강원 횡성군 공근면 오산리 331-5
우리 공동체 이야기
계모임을 하던 여성농민들이 전여농 제철꾸러미사업에 대한 전망을 갖고 1년간 횡성읍 공동체에서 견습을 한 뒤 2010년 4월에 언니네텃밭 오산공동체를 열게 되었습니다. 현재 6명이 활동을 하고 있어요. 중간에 이정숙 언니가 교통사고도 당하고, 조계옥 할머니가 돌아가시는 일도 있었지만 나이가 있어 힘들다 하시면서도 서로 의지하며 꾸러미 살림을 알뜰히 꾸러가고 있습니다.
특히 오산공동체는 서울환경운동연합, 행복중심용산생협등과 결연을 맺고 교류사업을 진행했고 결연 단체와 함께 꾸러미 사업 외에 직거래 사업도 함께 운영하고 있습니다.
경쟁도 하지만 협력해서 꾸러미 물품을 조직하는 언니들의 지혜는 널리 널리 퍼져나가야겠지요.
오산공동체는 모든 반찬은 모여서 만듭니다. 초창기에 개별적으로 했더니 맛이 있다 없다며 서로 불신을 조장하는 분위기가 만들어 진 후론 모든 반찬은 모여서 만듭니다. 다함께 모여서 이사람 저사람 간도 보다보니 화학조미료NO, GMO원료가 들어가지 않은 양념류 등 언니들이 직접농사지은 최고의 재료로 반찬을 하게 되었답니다. 할머니 손맛을 느낄 수 있는 개운한 반찬을 만들어 보내고 있습니다.
토종농사 전통농업 생명농업을 전파: 토종 농산물을 우선 구매방식으로 꾸러미에 넣습니다. 주로 콩종류농사를 짓고 있지요. 최근엔 오이, 감자, 고구마등도 토종으로 농사를 짓고 있습니다. 농약 안 치고 농사짓기 위해 천연 농약을 만들어 쓰고 미생물액을 배양해서 물을 줍니다. 농약 없이 어떻게 농사를 짓냐는 대부분의 농민들의 비웃음도 있지만 토종과 꾸러미로 농업환경을 바꾸기 위해 공동체 언니들은 지금도 돼지 감자액과 고사리를 삶은 물을 뿌려주는 등 애를 쓰고 있답니다.
우리 공동체가 추구하는 농업과 사회
토종씨앗과 꾸러미를 통해 세상을 바꾼다고 하는데 지금 당장 눈에 바뀐 세상은 보이지 않습니다. 꾸러미 소비자들은 줄고 언니들은 한 해 한 해 더 나이 들어 힘이 모자랍니다. 적은 액수지만 언니들 통장으로 따박따박 현금이 들어오다보니 적금도 붓고, 아들 장가 밑천도 만들어 주고 소도 사서 집안에서 지위가 높아졌다고 합니다. 경제적 지위는 자연스레 사회적 지위까지도 높여놓았는데 집안은 몰론 마을에서 꾸러미공동체에 대해서 높이 평가를 해주십니다. 앞으로 좀 더 발언권이 커지고 지역사회구성원으로서 입지도 확대해 나가기를 기대해봅니다.
횡성언니네텃밭《오산공동체》제철매주꾸러미편지
발송일 : 2025년 5월 20일 / 공동체연락처 : 서근영 010-7278-9315
이후배송일정) 2025년 5월 4주-5/28,6월1주-6/4,6월 2주-6/11, 6월3주-6/18 |
전통방식으로 생산하고 저온 살균한 횡성의 자랑! 무농약우리콩두부(“텃밭”생산)와 밥상을 든든하게 해주는 “유정란” 함께 보내요. 언제나 반가운 달달한 “식혜”를 보내요. |
돌나물,돌미나리 물김치- 다같이 준비했어요. 돌나물과 돌미나리를 물김치를 준비하려면 씻는게 일이네요. 물을 충분히 받아서 식초를 타서 한참 담가두었다가 넉넉한 물에 한참 흔들어서 씻었어요. 풀을 쑤고 사과엑기스, 사과, 무, 당근, 양파를 썰어넣어 소금으로 간을 했어요. 조금 짭짭하게 보내요. 생수를 타서 간을 맞춰서 드세요. |
토종“갓”- 토종지킴이 명옥님이 준비했네요. 씨앗을 머스타드소스로 써도 좋을 노랑갓이랑 토종갓을 모아서 보내요. 토종갓은 많이 맵지 않아서 샐러드나 생채소로 먹어도 부담이 없어요. 넉넉히 준비했는데 양이 많아서 오히려 떠서 다듬느라고 양이 많이 나갔네요. |
상추 – 다같이 준비했어요. 토종안호적상추, 파랑꽃상추, 담배상추등이 들어가고 그 외 로메인 배추상추, 적상추등을 모두 모아서 상추 모듬을 만들었어요. 모든 상추를 다 담고 싶었지만 그럴수가 없어 아쉬웠네요. |
아욱 – 주연언니가 준비했어요. 이렇게 대량으로 농사를 지어본 건 처음이라고 하면서 농산물을 이렇게 잘 내놓네요. 아욱은 가을 아욱이라고 하지만 그래도 시금치랑 같이 된장국을 끓여 먹는 대표 채소지요. 육수를 내서 된장국 끓여 먹어요 |
고춧가루 – 명옥언니가 준비했어요. 채소들이 넘치는 철이라서 고춧가루를 한품목으로 준비해 봤어요. 요즘은 고춧가루를 많이 먹지 않지만 맛을 낼 때, 색감을 낼 때 한번씩 넣으면 좋지요. 명옥언니 고춧가루는 맵지 않아서 좋아요. |
“옥수수뻥튀기” - 팔줄매기 메옥수수와 각종 토종찰 옥수수를 뻥튀기를 해서 보내요. 아주 작은 꼬마찰옥수수를 튀겨본 것 처음이네요. 검은 찰들을 주로 튀겼더니 까만 껍질이 보이네요. 단 것을 하나도 넣지 않았지만 단맛이 있네요. |
국제적으로도 소문이 나버린 횡성 토종씨앗~
지난주 일요일은 인도와 스리랑카 여성농민들이 횡성에 왔어요. 토종씨앗이 보존 되고 있는 지역의 상황을 보고 싶어서 방문했네요. 언제부터 토종로드를 만들어서 투어를 해야한다고 생각했었는데 이번에 살짝 시험삼아 투어를 하게 되었네요. 투어의 시작은 토종콩두부를 시도했던 텃밭영농조합법인과 토종씨앗지킴이가 후계를 잇고 있는 오산꾸러미 공동체 그리고 횡성여농과 토종한줄농사팀, 행복중심생협 회원들이 함께 짓는 토종씨앗 채종포. 그리고 곁두리협동조합이 준비한 토종밥상을 먹고 갑천면에 문을 연 횡성양조(토종팔줄배기옥수수로 증류주를 만드는 곳)-> 마지막으로 횡성여성농업인센터를 방문해서 토종씨앗을 구경하고 횡성여성농업인센터의 역할을 듣는 걸로 투어는 마감됩니다.
여성농민회는 토종씨앗을 현장에서 보존하고
언니네텃밭은 토종농산물을 소비자들과 연결하고
식당(곁두리협동조합)은 토종으로 밥상을 차리며 토종의 맛을 알리고
토종가공사업자(텃밭영농조합법인, 횡성양조)들은 토종을 대중화하고
여성농업인센터는 토종을 공공화하는 작업들을 해 나가는
“ 횡성 토종로드 ”
횡성 꾸러미 회원민들도 토종로드의 일부가 되었지요.
인도와 스리랑카 농민들은 특히 가공에 관심이 많았어요. 통역하시는 분의 말에 의하면 이번 국제 행사중 가장 식사를 많이 했다고 하니 접대한 입장에서도 참 뿌듯한 하루였네요.
횡성에 이렇게 토종자원들이 많아서 모두 구경시켜주기에 시간이 부족한 상황이였네요.
회원님들도 횡성에 오면 토종로드를 함께 여행해보아요.
여성농민회는 토종씨앗을 현장에서 보존하고
언니네텃밭은 토종농산물을 소비자들과 연결하고
식당(곁두리협동조합)은 토종으로 밥상을 차리며 토종의 맛을 알리고
토종가공사업자(텃밭영농조합법인, 횡성양조)들은 토종을 대중화하고
여성농업인센터는 토종을 공공화하는 작업들을 해 나가는
“ 횡성 토종로드 ”
횡성 꾸러미 회원민들도 토종로드의 일부가 되었지요.
인도와 스리랑카 농민들은 특히 가공에 관심이 많았어요. 통역하시는 분의 말에 의하면 이번 국제 행사중 가장 식사를 많이 했다고 하니 접대한 입장에서도 참 뿌듯한 하루였네요.
횡성에 이렇게 토종자원들이 많아서 모두 구경시켜주기에 시간이 부족한 상황이였네요.
회원님들도 횡성에 오면 토종로드를 함께 여행해보아요.
- 사업자번호 114-82-63727
- 통신판매업신고증번호 제2023-서울종로-1672호
- 대표 선애진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윤성은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김상옥로 60 (충신동 보성빌딩) 401호 (우)03125
- 전화 02-582-1416
- 팩스 02-582-3327
- 이메일 sistersgarden@hanmail.net